블로그 이미지
이것저것
사진을 볼 땐 클릭해서 보세요 ^^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2011. 2. 14. 00:01 생각정리+분석/사회

프레시안 - 이건희 회장 손자에게도 '무상복지'가 필요한 이유
http://bit.ly/hRE47Z


보편적 복지가 필요한 이유가 가난한사람들에 대한 선별적 복지가 이루어질 경우, 부자는 세금을 낼 이유가 없어지고 최소한으로 내고자 하는 유인이 발생하기 때문에, 공공에게 공급되는 복지(급식, 의료, 보육 등) 서비스의 질을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고 한다.

일견 타당한 말이다. 시혜적 복지라는 것이 가진 자로부터 거둬서 가지지 못한 자에게 베푸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자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사회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야기한다. 가진 자들은 세금이 당연히 내야하는 것이 아닌 국가가 빼앗아가는 것으로 여기게 되어 최대한 세금을 내지 않는 방향으로 갈 수 있고, 가지지 못한 자는 국가로부터 받는 시혜적 복지로 인해 도덕적 해이(미고용 상태의 지속, 노력할 유인 부재 등)에 빠지거나, 낙인효과 등으로 인해 사회적 불만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보편적 복지를 해야하는 것은 당연히 타당하다. 사실 복지를 언급하면서 이것이 보편적인지, 특정대상을 위한 것인지 따지는 것 자체가 무의미한 논쟁이다. 누구한테 퍼주자고 하는게 아니라 다같이 잘먹고 잘살자고 하는 이야긴데! 여튼,

국가가 제공하는 복지서비스란, 첫째 모든 국민이 인간답게 살 수 있도록 하고, 둘째 사회 구성원으로서 제공받을 수 있는 그래서 사회구성원의 일원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최소한의 서비스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우 시장에서 추가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으면 된다. 국민 모두가 만족하는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재정이 천문학적으로 소요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국가는 중위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고 그러다보면 당연히 고소득층은 복지서비스를 받지 못한다고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문제가 아니다. 그들은 시장에서 사적 서비스를 제공받기 때문이다. 치안이 부족하면 사설경비업체를 고용하고, 건강이 염려되면 민간보험에 가입한다. 항상 모든 사람이 같은 서비스를 받도록 하자는 것은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불가능하다. 시장에서 더 나은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람들은 그렇게 할 수 있도록 그 선택권을 존중해야 하고 이러한 선택은 잘못된 것이 아니라 당연한 것이다.

사실 부자들도 이러한 복지제도의 혜택은 받을 수 있다. 복지 서비스란 사회안전망을 구축하는 것으로 고소득층이라고 하더라도 불의의 사고로 저소득층으로 될 경우 작동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그것이 지금이 아닐 수 있고, 영원히 아닐 수도 있지만 그들이 만에 하나 겪을 수 있는 불의의 상황에 대해서 국가는 언제나 자활할 수 있는 안전망을 언제나 구축하고(하려고) 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부분은 국가의 복지서비스가 부족한데 민간에서 추가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소득계층이다. 국가는 이 소득계층을 포섭할 수 있는 복지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주목표인 것이다. (국민의 눈이 높아진다면 재정상황과 타협할 필요는 있겠지만) 그렇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이 소득계층뿐만 아니라 부자를 포함한 고소득층에게 유리한지 보자.


급식을 예로 들어볼 때, 만약 전면무상급식이 시행되었다고 가정해보자. 이것은 장기적으로 보면 가정(학생), 학교, 급식업자에게 정부가 일정금액의 보조금을 지급한 것이 되어, 귀착 여부에 따라 실제 수혜자는 달라질 수 있다. 그런데 정부보조금에 대해서 특별히 절약할 유인이 없는 경제주체(학교, 가정)들의 행위를 고려할 때 급식업자의 이익이 제일 커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다(실제 경제적 분석이 필요한 부분이라 단정짓기는 어렵다). 이 경우 실제 피해자는 정부가 될 것이다. 낮은 급식지원비로 인해 급실 질 저하가 우려되는 심각한 상황에 대해 가정(학부모)과 급식업체, 학교가 한마음이 되어 보조금 인상을 요구하는 상황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면무상급식이 아닌 저소득층에 대한 (낙인효과 없는) 무상급식이 제공되는 상황을 가정해보면 가정에서 비용을 지불해서 급식업자와 계약을 하는 형태가 되므로 학부모(또는 학생)는 비용대비 급식서비스 질에 대해 감시를 할 유인이 보다 커지게 된다. 이렇게 될 때 급식의 전체적인 질 저하를 막기가 수월하고 저소득층뿐만 아니라 고소득층 자녀들도 보다 나은 급식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 조심스레 추측해본다. 

부자가 무상급식을 제공받기 때문에 복지서비스 질을 높게 유지할 유인이 발생한다는 것은 단편적인 생각이 아닐까? 그들은 언제든지 추가비용을 부담해서 더 나은 서비스를 받을 준비가 되어 있다. 물론 그럴 능력도 있고, 실제 무상급식의 질에 만족을 하지 못하는 일부 학부모들 사이에서 일정금액을 추가로 납부해서 더 나은 급식을 제공하자는 학교도 생기고 있다. 이러면 저소득층 학부모는 이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타 학부모들과 같이 추가금액을 부담해야 할까.. 아니면 추가납부하자는 부모님들께서 저소득층 자녀를 위해 선뜻 추가금액을 납부해주기를 기다려야 할까.. 아니면 다시 정부의 추가지원을?

소득기준으로 무상급식을 제공하는 것이 시혜적 복지라고 단정짓기는 어렵다. 오히려 필요한 사람들에게 필요한 금액을 할당함으로써 경제적 능력이 있는 사람들이 스스로의 능력에 걸맞는 소비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지원방식이 결국 진정한 윈윈전략 아닐까?


다른 분야도 비슷한 사정일 것이다. 무상, 무료의 달콤한 유혹은 언제나 있다. 내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면, 나도 세금을 내는데 난 왜 안되나, 이런 질문들을 던지기 전에 스스로에 대한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발상의 전환을 시도해봐야겠다. (스스로도 어렵다는 것을 잘 알기 때문에 스스로에 대한 다짐으로 맺어본다)


* 본 내용은 경제적 분석이 결여된 구호적 의미의 '무상복지'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posted by 이것저것
2011. 1. 28. 14:33 생각정리+분석/사회

왜 부자들을 돕는 것은 '투자'라고 하고, 가난한 이들을 돕는 것은 '비용'이라고만 말하는가.

멋지다.

 





복지는 그 투입되는 금액에 비해 효과를 단시간에 보기 어려운 부분이라서 쉽게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인 듯 하다.
또한 시혜적 복지로 인해 발생하는 소득효과는 노동의욕을 감소시켜 복지실업자를 대량으로 양산할 우려도 있다.
하지만 복지가 계속 이슈가 되는 이유는 브라질의 경우에서와 같이(단지 그 이유만은 아니겠지만) 중산층이 두터워져야
경제 체질이 튼튼해진다는데 있다.
또한 사회 (경제) 계층간 갈등이 깊어질수록 사회적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것도 그 이유가 될 것이다.

우리 경제에서 복지에 대한 아젠다를 세울 때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저소득층에게 귀착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과, 중산층 이상이 접근할 유인을 없애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그리고 복지수혜자에게 일회성 혜택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브라질의 예처럼 교육이나 직업훈련 등의 중장기 과제(공공재같은)와 연계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다.
posted by 이것저것
2008. 4. 16. 16:01 생각정리+분석/사회
미국 카길이 이경해씨를 죽였다
[특별 기고] 환경사상가 반다나 시바가 말하는 WTO협상의 실체

03.9.20


멕시코 칸쿤에서 열리고 있는 세계무역기구(WTO) 각료회의에 반대하는 이경해 전 한국농업경영인연합회 회장의 자살을 계기로, WTO 무역협정 중 농업협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국제적 농민연대가 강화되고 있다.

특히 반(反)WTO진영의 세계적 환경사상가인 반다나 시바(Vandana Shiva)는 WTO 농업협상이 미국의 세계최대 농산물수출기업인 카길(Cargill)의 이해를 대변하는 카길 협정이라고 신랄하게 비판하며, 소수의 다국적 기업과 미국 주도의 세계 농업시장 개편은 개별 국가의 농업시장을 파괴해 농민들을 죽음으로 내몰고 인류의 건강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시바는 구체적으로 WTO 농업협상의 전신인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 자체가 초국적 자본인 카길사에 의해 주도된 것으로 농업자본의 이익을 극대화 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초안이 작성됐다며 WTO협상에서 농업부분을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1952년 인도 출생인 시바는 대학에서 핵물리학을 전공한 물리학자였으나 성장과 개발 논리에 착취당하는 제3세계 민중들의 삶을 보면서 환경과 민중운동에 뛰어들었다. 그녀는 랠프 네이더와 제레미 리프킨과 더불어 세계화 국제포럼(International Forum on Globalization)을 이끌고 있다.

시바는 그의 저서 <누가 세계를 약탈하는가>라는 저서를 통해 현시대를 소수의 다국적기업들이 세계 식량공급을 통제하고 자신들의 이윤과 권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그것을 재편하고 있는 식량독재의 시대라고 진단한 바 있다.

다음은 반다나 시바가 왜 WTO 농업협정에 반대하는가를 피력한 WTO 농업협정이란 글의 전문이다. 이 글은 보건의료단체연합의 우석균 정책국장이 번역해 본지에 보내온 글이다. 편집자

WTO 농업협정(WTO Agreement On Agriculure)

농업협정은 카길(Cargill) 협정이라고 불려야만 한다. 카길사 부회장이었던 댄 암스투츠(Dan Amstutz)가 농업 우루과이 라운드 협정의 기본판을 기초했기 때문이다. 남반부의 시장을 개방하고 농민농업을 기업농업으로 바꾸는 것이 카길 그리고 지금의 농업협정의 주요목표이다.

그러나 카길사를 위한 시장개방은 농민들의 생계를 봉쇄하는 것을 의미했다. WTO 규정들은 무역에 관한 것만이 아니다. 그것은 식량이 어떻게 생산되고 누가 식량생산을 통제할지를 결정한다. 카길사를 위해 아시아시장을 장악하는 것이 핵심이다. 아시아는 우연히도 세계에서 가장 큰 농업경제이며 아시아인구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한다. 자족적인 식량경제를 식량의존적 경제로 변화시키는 것이 카길사의 비전이고 WTO의 전략이다.

2008년까지의 인구증가의 반 이상이 아시아지역에서 일어날 것이고 세계의 다음 10년의 소득증가의 30%가 아시아에서 발생할 것이다.....인도와 베트남 사람들은 수입의 반이상을, 중국사람들은 수입의 1/3이상을 식량구입에 쓴다. 만약 보다 양질의 식량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들에게 공급되면 남는 소득이 오토바이나 휴대폰이나 심지어는 컴퓨터를 사는데 쓰일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개방된 식량체계는 식량이 가장 잘 재배되는 지역이 가장 식량을 필요로 하는 지역과 연결시키게 될 수 있을 것이다.....그 시스템은 식량이 가장 잘 재배되는 지역-미대륙-이 교역을 통해 식량을 가장 필요로 하는 지역, 즉 아시아와 교역을 통해 연결될 것이라고 묘사한다.

WTO의 농업협정은 농업사업 협정이며 이것이 자연과 소농과 모든 소비자의 관점에서 볼 때 이 협정이 생산과 교역을 왜곡시키는 이유이다. 그것은 생태계파괴, 가족농장의 유린 그리고 시민의 건강을 황폐화시키는 처방이다. 국내지원, 시장접근 및 수출경쟁을 위한 규정이라는 중립적 외관 뒤에는 식량생산과 분배에 대한 왜곡된 가정과 신화들이 있다.

이러한 카길사의 신화는 WTO 농업협정 속에 곱게 모셔져 있다. 첫 번째 신화는 미국이 식량을 재배하는데 가장 좋은 지역이고 미국이 가장 좋은 식량을 키운다라는 신화이다. 두 번째 신화는 자유무역이 식량의 보다 효율적인 공급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는 신화이다. 진실은 대랑의 보조금과 덤핑 없이는 미국기업은 남반구의 사장을 장악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또한 자유무역은, 한 나라만 독특하게 생산할 수 있는 것들을 수출하고 그렇지 못하는 것은 수입하는 체계가 아니라, 동일한 상품을 수출하고 수입하는 나라들과 모든 나라들이, 농업사업분야 거인들에 의해 통제되는 한줌의 상품만이 교역되는 시장안으로 편입된 상태에서의 식량 스와핑 food swap에 기초해 있다는 것이 진실이다.

이와 관계된 신화는 자유상품의 덤핑이 농민들의 소득을 증대시켜 오토바이, 휴대폰 및 컴퓨터를 구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진실은 덤핑이 국내시장을 파괴하고 시장을 붕괴시키며 소득과 생계를 파괴하고 농촌소득을 붕괴시키며 구매력을 마모시킨다는 것이다. 피폐화된 농부들은 기아계층에 합류한다. 빚을 진 농부들이 자살을 한다. 기아로 인한 사망과 농부들의 자살이 식량체계의 무역자유화의 결과이다.

농업협정(Agreement on Agriculture, AoA) 20항에 원래 포함된 재조사는 사실 이 농업협정의 근거가 되는 결함있는 가정들에 대한 재조사를 위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어야 했을 것이다. 그 대신에 칸쿤 선언 초안에서는 재조사는 무시되었고 아무런 협의 없이 진전된 자유화에 대한 약속이 행해졌다.

식량체계에 관한 미국 모델의 비극:농민과 공중의 건강을 파괴하도록 설계된 체계

세계화의 첫 번째 신화는, 미국이 식량생산을 위한 최적지이고 식량의 최상의 보급처라는 것이다.

우리 중 한 그룹이 최근 치명적 수확 : 공업화된 농업의 비극 Fatal Harvest: The Tragedy of Industrial Agriculture(심화된 생태학을 위한 앤드류 킴벌 재단/Earthscan 출판사)이라는 책을 출판했는데 이 책은 미국의 농업체계의 생태적, 사회적 비용을 다루고 있다. 1995년 세계화와 식품안전에 대해 우리가 조직한 한 회의에서 미국의 농업사업 전문가인 크렙스(A.V. Krebs)는 농업비즈니스의 힘이 커지면서 미국의 농민이 어떻게 파괴되고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1990년에 미국의 농민가구중 22%에 가까운 수가 공식적 빈곤선 이하의 가계소득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전체 미국 가계소득수준과 비교할 때 두배에 달하는 수치였다. 1993년에 평균적인 농장을 경영하는 가구소득의 88%이상이 농장외 소득이었다. 1982년부터 1993년까지미국농민이 투입에 비교하여 받는 가격지수는 세배 이상으로 떨어져 23% 수준으로 하락하였다.

1990년부터 1994년까지 우리의 농민들이 그들의 투자분 중 오직 1.98%만 되찾을 수 있다는 것이 아직도 놀라운가?

그 결과 1987년부터 1992년까지 미국의 신규농장등록은 1년당 67,000으로 감소한 반면 농장감소는 99,000에 달해 연간 순농장감소규모는 32,000개에 달하게 되었다.

농민들의 추방을 생산성 측면에서 합리화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실은 적은 농장이 큰 농장보다 생산성이 높다. 우리의 전 수상 챠란 싱(Ch. Charan Singh)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삶의 과정으로서 농업은 실제현장에서는 주어진 조건하에서 농장이 커지면(다른 말로하면 에이커당 노동력과 관리의 투입이 감소하면) 에이커당 산출량이 감소한다. 이 결과는 보편적이다. 작은 농장들에서의 에이커당 투자의 산출이 큰 농장들보다 높다. 따라서 인구가 많고 자본이 희박한 인도 같은 나라가 단 하나의 100에이커의 농장과 40개의 2.5에이커 농장을 선택해야 한다면 작은 농장을 선택하는 것이 국가경제에 대한 자본비용이 적을 수 있다.

그러나 세계화와 무역이 강요하는 경제개혁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것들이 바로 이 작은 농장과 소농들이다. 인도에서는 개혁이 도입된 후 오백만명의 생계수단이 사라졌다.




농민의 추방과 토지와 물, 생물다양성의 파괴는 미국 식량체계의 두가지 부정적인 특징이다. 공중의 건강에 대한 위협은 공업화되고 기업이 통제하는 식량체계의 또 다른 치명적 측면이다. 미국의 농업 문화가 세계화를 통해 확산되면 될수록 그것은 건강상의 위험요소를 확산시킨다. 코카콜라와 펩시콜라의 높은 농약잔류물을 둘러싼 인도에서의 심각한 논쟁은 미국 스타일의 공업적 식품 문화에 가해진 공중의 건강의 위험요소의 한 예이다.

비만이라는 역병은 또 하나의 증상이다. 70%에 가까운 미국 어린이들이 비만으로 고통받고 있고 당뇨나 고지혈증, 고혈압과 같은 과거에는 어른들에서만 볼 수 있었던 대사장애를 보이고 있다. 오늘날 4천4백만명의 미국성인이 비만이고 6백만명의 성인은 수퍼 비만이다. 비만은 이제 미국에서 담배 다음가는 두 번째 사망원인이 되었다. 미 질병통제센터는 미국에서 과다체중의 직접적 결과로 사망하는 사람이 1년에 28만명이라고 추정했다(출처 : 에릭 슐로써 Eric Shlosser, 패스트푸드 국가, 펭귄, 2002). 비만과 관련한 미국의 연간 보건의료비용은 2400억 달러이고 330억달러가 다이어트 상품과 체중감소계획에 소비된다.

세계화에 따라 이윤에 의해 지배되는 이러한 불량한 식품문화는 전세계로 퍼져나갔다. 중국에서는 12개 학교의 30%의 어린이들이 비만인 것으로 밝혀졌다. 인도에서는 거의 7.5%의 어린이들이 비만이다. 인도의 체나이에서는 18%가 비만이다. 델리의 학생들은 5분의 2가 고지혈증과 당뇨를 가지고 있다. 공업화된 식품과 쓰레기 식품들의 건강 위험요소 이외에도 미국은 유전조작유기체(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s)의 형태의 새로운 위험요소의 근거지가 되고 있다. 유럽인들은 유전조작식품을 소비하는 것을 거부했다. 인도와 잠비아는 식량원조로 주어지는 유전조작 옥수수를 거부했다.

GMO 무역을 규제하기 위한 전세계적 협정인 생물다양성 의정서(Biosafety Protocol)가 존재한다. 그러나 - 생명공학 기업과 농업비즈니스에 의해 강제된 - 미국은 GMO에 대한 무역의 규제를 없애려 하고 시민들의 알권리와 선택권을 부인한다. GMO 무역규제와 관련하여 유럽연합을 WTO에 제소하겠다는 미국의 협박은 WTO 규정이 불량식품의 강요를 어떻게 지원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나라들과 시민들로 하여금 그들의 식품안전과 양질의 식품의 권리를 부정하게 하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왜곡된 무역 : 보조금과 덤핑

WTO 규정들은 효율성으로 귀결되고 있지 않다. 규정들은 생산과 무역을 왜곡시키고 있다. 국내지원에 대한 원칙은 농업협정의 핵심요소이다. 그러나 이 규정들은 북반구의 농업비즈니스에 대한 보조금을 제거시키지 않는다. 부국들은 보조금으로 4천억달러 이상을 사용하고 있다. 이 보조금은 미국과 유럽연합에서 소농들에게 가는 것이 아니라 농장과 수출품에 주어진다. 미국과 유럽연합은 편리하게도 앰버박스, 블루박스, 그린박스의 메카니즘을 솜씨 좋게 만들어내서 자신들의 보조금이 삭감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사실상 미국은 신 농장법(Farm Act)을 통해 보조금을 확장시키고 있다.

녹색박스와 청색박스 보조금은 WTO의 보조금 감소협약에서 전적으로 제외된다. 이는 연구활동의 연장, 시장거래·판매촉진·인프라구조, 비연계(decoupled)소득보조 형태로 행해지는 직접지불, 구조조정보조 등을 포함한다. 충격흡수는 카길사의 발명품으로서 유럽연합의 CAP 개혁의 주된 계획으로 도입되고 있다. 그린박스와 블루박스 보조금은 생산과 비연계 된 것이라는, 따라서 무역을 왜곡시키지 않는다는 신화가 있지만, 비연계된 보조는 가격의 바닥을 제거해버림으로써 생산과 무역을 왜곡시킨다.

농장가격의 자유낙하와 더불어 농민들은 파산하지 않으려는 절망적인 노력속에서 보다 강도 높은 농장운영의 집중화 및 광역화를 위한 외부로부터의 투자압력을 받게된다. 생산비용과 연계되지 않는 인공적인 낮은 식량가격은 무역의 가장 중요한 왜곡이다. 그리고 낮은 식량가격은 과잉생산보다 농업비즈니스에서의 독점과 보다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미국과 유럽연합은 현실적인 잉여나 과잉생산를 가지고 있지 않다. 미국은 수출하는 것보다 두배의 쇠고기를 수입한다. 영국은 수입양보다 두배의 우유를 수입한다. 문제는 과잉생산이 아니라 왜곡된 생산이다.

비연계보조는 따라서 지속가능하지 않은 대규모 공업적 생산과 낮은 가격을 촉진한다. 그것은 따라서 내재적으로 지속가능하지 않은 생산과 부정한 가격과 연관되어 있고 연계되어 있다. 그것은 지속가능성과 정의로부터 비연계되어 있다. 따라서 WTO 규정들의 구조 그 자체가 소농에 역행하고, 식량주권과 무역정의에 역행하며 무역을 왜곡시킨다. 그 규정들은 그 자체가 그리고 스스로 무역왜곡적이다.

이것이 왜 전세계에 걸친 운동들이 WTO 규정에서 농업부분을 제외하라고 요구하는 그 이유이고 남반구의 정부들이 이러한 덤핑과 소농들의 절멸을 촉진하는 무역왜곡적인 규정의 예외를 찾고 있는 바로 그 이유이다. WTO의 결과로 덤핑은 증가하였다. 1995년부터 2001년까지 덤핑은 밀에 있어 23%에서 44%로, 콩에 있어 9%에서 29%로, 옥수수에 있어 11%에서 33%로 면화의 경우 17%에서 57%로 증가하였다.

미국과 유렵연합이 상호 다른측의 보조금에 대해 왈가왈부하지 않기로 한 평화조항을 도입한 이후 우루과이 라운드에서 남반구 농업에 왜곡된 무역체계를 강요한 것과 정확히 마찬가지로 두 부유한 지역은 칸쿤 직전에 남반구를 희생시키면서 뒷거래를 성사시켰다.

빈국들이 부국에 의한 높은 보조금지급과 높은 수준의 덤핑이 행해지는 상황에서 수입제한을 철폐하고 관세를 줄이도록 강요당할 때 가난한 농민들은 절멸되며 그들과 함께 남반구의 식량주권도 마찬가지 상황에 놓이게 된다. 피폐화된 농민들은 카길에 의해 제시된 것처럼 휴대폰이나 컴퓨터를 사지않는다. 그들은 절망에 빠져 자살하거나 기아상황에 놓이게 된다.

수량적 수입제한(QRs)의 재도입과 관세의 인상은 남반구의 농민을 위한 생존적 요구다. 수량적 수입제한은 종의 멸절을 초래하는 부당한 덤핑으로부터 우리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하나의 권리다. WTO의 우리의 식량과 농업에 대한 왜곡은 응급상황의 문제로 반드시 제거되어야 한다. 수천명의 농민들이 죽어가고 있다. 수백만명의 민중들이 그들의 식량의 권리를 강탈당하고 있다. 정의와 지속가능성이 지역적으로, 국가적으로 그리고 전세계적으로 식량 및 농업정책의 핵심결정요소로 되돌려져야만 한다.

칸쿤에서 대안으로 추진되어야 할 결과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낳을 세가지 전략은 다음과 같다.

1.농업을 WTO에서 제외하는 것 (농민운동)

2.QRs을 제도입하는 것 (농민운동과 몇몇 남반부의 정부들)

3.개발도상국을 WTO규종의 예외로 하는 식량안보 또는 개발박스의 도입 (개발도상국 정부)

이 세 개의 끈은 시애틀에서 그러했듯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러한 발걸음들은 농민의 생존과 농촌의 생계, 식량주권 및 공중의 건강을 방어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동시에 모든 곳에서 발전하고 있는 지속가능하고 안전한 식량생산체계와 정의롭고 공정한 식량분배체계가 강화되고 확장될 필요가 있다. 식량의 미래에 대한 국제위원회-내가 의장을 맡고 있다- 선언(The Manifesto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the Future of Food)에서 이러한 변화를 개괄한 바 있는데, WTO가 우리의 식량안보와 공중의 건강을 파괴하는 기전이 되도록 허용되어서는 결코 안된다.

우리는 WTO가 지속가능성과 정의에 대한 무역장벽이 되도록 허용하지 않을 것이다. 칸쿤에서 정부들은 전세계에 걸친 다양한 운동들의 일치되고 일관되며 헌신적인 목소리를 들어야만 한다. 다른 농업은 가능하다. 다른 농업은 필수적이다. 다른 농업은 이미 이루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옥스팜 브리핑 문서 No.32 농업무역에서의 권투경기. 세계무역기구 협상은 세계의 가장 가난한 농민들을 때려눕힐 것인가? (Oxfam Briefing Paper No 32. Boxing match in agricultural trade. Will W.T.O. negotiations knock out the worlds poorest farmers?) 에서 인용

크렙스(A, V Krebs), The Corporate Reapers: Towards Total Globalisation of our Food
Supply in Sustainable Agriculture and Food Security: The Impact of Globalisation edited by Vandana Shiva and Gitanjali Bedi, Sage Publications, 2002

챠란 싱(Charan Singh), p119 Economic Nightmare in India, 1984, National Publishing
House, New Delhi
관련 링크 (
http://www.zmag.org/sustainers/content/2003-09/10shiva.cfm )
richkhy@pressian.com>우석균/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국장

posted by 이것저것
2007. 4. 16. 14:22 생각정리+분석/사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세계 대기오염지도에서 보니, 중국의 악독함?을 잘 알 수 있다. 세계 대기오염의 얼마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지... 세계적으로 붉은 색을 띄고 있는 부분이 굉장히 적은데 너무나도 크게 붉은 점이 중국에 가득 차 있다. 대기오염이라는게 자연적인 모래바람을 오염이라고 하진 않을텐데 저 정도라는 것에, 중국 북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오염이 얼마나 심각한지와 중국의 성장속도(2차 산업의 발전을 통한)가 얼마나 빠를지 생각해볼 수 있다.

편서풍 영향에서 저 피해는 우리나라에 고스란히 전해질텐데 세계적으로 어떠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보게 되지만, 항상 유아독존식 막무가내 주장을 펼치는(사실 강대국이긴 하지만) 중국이기에 눈하나 깜짝하지 않을까 생각이 된다.

대기오염이 심하다고, 지구오존층에 구멍이 난다고 내가 어릴때는 정말 많이 언급이 되었는데 요즘은 그런 얘기는 잘 안들리는거 같다. 내가 나이를 들어서인지. 사람들이 심각히 생각을 안하는건지..
posted by 이것저것
2007. 2. 16. 01:14 생각정리+분석/사회
덜 낳고 늦게 낳고 … 한국 출산율 세계최저
 



한국 여성 1명이 낳는 자녀 수가 세계 최저 수준인 1명 가까이로 줄어들면서 사회 기반의 붕괴를 우려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또 늦은 결혼과 출산이 일반화되면서 지난해 30대 산모의 비율이 20대를 처음으로 넘어섰다.

통계청이 8일 발표한 '2005년 출생 통계 잠정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약 1.08명으로 전년(1.16명)보다 0.08명 줄었다.

합계출산율이란 한 여자가 가임 기간(15~49세)에 평균 몇 명의 자녀를 낳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 국가의 출산력을 알 수 있는 대표적 지표다.

한국의 출산율은 지난해 전 세계 평균인 2.6명(유엔인구기금 기준)과 선진국 평균인 1.57명에 크게 못 미친다.


----

 


한국, 세계최저 출산율‥2020년 노동력부족 152만명

 








한국의 출산율이 세계 최저 수준으로 급락하면서 '저출산·고령화'의 재앙이 발등의 불로 떨어졌다.

통계청이 8일 발표한 작년 합계출산율(한 여성이 평생 낳는 자녀수) '1.08명'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

또 미국 프랑스 독일 등 극심한 저출산을 경험했던 선진국들의 역대 최저 합계출산율과 비교해도 최저다.

그만큼 한국의 저출산이 세계에서 가장 심각하다는 얘기다.

정부는 나름대로 출산장려를 위한 대책을 마련 중이다.

그러나 여성이 직업과 육아를 동시에 하기 어려운 사회 현실에 높은 사교육비 주거비 부담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저출산 문제를 풀 수 있는 묘안이 없어 고민하고 있다.



 ○ 세계 최악의 저출산

한국의 저출산은 그 속도와 정도가 모두 세계 최악이다.

우선 출산력 감소 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르다.

통계청에 따르면 1970년부터 2003년 사이 약 33년간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4.53명에서 1.19명으로 3.34명 줄었다.

같은 기간 이탈리아가 1.14명,일본 0.84명,영국 0.72명,독일 0.69명씩 감소한 것과 비교해 훨씬 많이 줄어든 것이다.

저출산 정도도 제일 심각하다.

세계 어느 나라도 지난해 한국의 합계출산율 1.08명보다 낮은 출산율을 기록한 적이 없다.

주요국의 역대 최저 출산율을 보면 이탈리아가 1997년 1.18명이었던 게 가장 낮은 수준이다.

프랑스와 일본의 합계출산율 최저 기록은 각각 1.65명(1993년)과 1.29명(2004년)이었다.

이들 나라는 이후 출산장려정책이 성공해 출산율이 조금씩 올라가거나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사회기반 붕괴 우려

저출산으로 인구가 줄면 일 할 사람이 부족해지고,경제성장력이 감퇴된다.

실제 한 가정에서 1.10명을 출산한다고 가정했을 때 현재 4800만명을 넘는 한국 인구는 2050년께 4000만명 이하로 줄어든다.

이에 따라 노동력 공급(15세 이상 인구)은 2015년 63만명,2020년 152만명이 부족할 전망이다.

그렇게 되면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은 2000년대 4.56%에서 2020년대 2.91%,2030년대 1.60%,2040년대 0.74%로 낮아질 것이란 게 재정경제부의 분석이다.

또 점차 늙어가는 기존 세대에 대한 부양부담도 크게 늘어 세대 간 갈등이 증폭되고,사회기반이 무너질 수 있다.


 ○ 뾰족한 대안은 없고

정부는 저출산의 급한 불을 끄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작년 5월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을 제정하고 대통령을 위원장으로 하는 민관합동 '저출산·고령사회 위원회'와 '저출산·고령화대책 연석회의'를 출범시켰다.

정부는 일단 보건복지부를 중심으로 마련한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오는 16일 내놓을 예정이다.

정부는 이 계획에서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무엇보다 애를 낳을 수 있는 사회·경제적 환경조성이 중요하다고 보고 출산과 양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자녀 양육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보육·교육비 지원 확대,모성 및 영유아에 대한 지원 강화 등 임산,출산 환경 조성 등에 역량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대책의 성공 여부는 미지수다.

경제적 여건 등으로 애 낳기를 부담스러워하는 젊은층 여성들의 근본적인 인식 변화가 없는 한 '백약이 무효'라는 지적이다.

-----------------

출산율이 낮아지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라고 봤을 때, 우리나라의 출산율이 급하게 떨어지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할 것이다. (사실 1.08명이라는 숫자 자체도 문제다.)

출산율이 떨어지는 원인을 파악, 대책을 마련해보자면,

출산율이 낮아지는 건 크게 두 가지로 파악할 수 있는데, 자신(부부)에 대한 걱정, 자식(아이)에 대한 걱정으로 볼 수 있다.

먼저 자신에 대한 문제는, DINK족처럼 인생을 즐기자는 부류의 사람들이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겠다. 아이라는 굴레(그네들이 말하는)에서 벗어나서, 짧은 인생, 하고 싶은 것을 하면서 살아도 부족하다는 얘기다. 이에 대해서는 뭐라고 말하기 곤란하다. 왜냐. 그 사람 나름의 방식이니. 자기가 좋다고 옳다고 추구하는게 다르니. 생각을 이리저리 강요할 수는 없는 법.
하지만, 한단계 더 깊이 생각해보면, 그네들이 삶을 즐긴다는 말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짧은 인생동안 하고 싶은 것을 한다는 것이, 자신이 원하는 바를 이루는데 초점을 맞춘사람도 있고, 그냥 순간순간 즐겁게 살고자 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전자의 경우, 자아실현의 욕구라는 상위 욕구가 작용하는 바, 종족 보존이나 안정에 대한 욕구 등 하위 욕구가 비집고 들어갈 틈이 없어 보인다. (어찌보면 이도 좁은 시야 탓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더구나 이들은 사회 발전에 이바지-일반적으로- 할 가능성이 크므로, 장려해도 좋다고 감히 말한다. (과연? -_-a. 아. 그리고 요즘 보는 책에 '발전'에 관한 얘기가 나오는데 이는 담에 또 얘기 해봅시다.)

과거 평화로운 로마 시대에 원형경기장에서 항상 시민을 즐겁게 해주는 경기가 열렸듯, 무언가 생각을 못하게 하기 위해서는 오감을 자극하는 무언가를 제공하게 되고, 생각하기 싫어하는 사람들은 여기에 심취하게 된다. (지금 나처럼-_-)  나아가 현재는 손가락만 몇번 까닥거리면 충분히 피상적이고 자극적인 자료를 접할 수 있고, 아주 약간의 노력만 기울인다면 나의 취향(?)에 맞는 즐거운 놀이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현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부족한 것이 무엇일까? 왜 아무 생각도 하고 싶지 않게 만들까?
역시나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돈'이다. 절대적 평등도는 꽤나 높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 박탈감이 매우 심하기 때문일 수도 있고, 미국으로부터 '천한' 자본주의를 배워서 가진 돈에 대한 '권리'만을 주장하고 그 의무에 대해서는 아주아주아주 관대하다.

막말로 우리나라만큼 살기 좋은 나라가 어딨냐. 밤에 총맞아 죽는 사람 없지. 요새는 위험해졌지만, 밤에 혼자 다녀도 죽을 확률도 낮고, 유럽 제외하고 OECD 국가 중에 지니계수도 제일 낮은 수준에 속해, 경제성장률은 OECD국가 중 최고야, (사회지출비용에 국방비 포함시키면 우리도 순위 높아질꺼야. -_- 지금은 최하위)
- 아래 표 참조 -

그러니 다들 열심히 좀 살자. 살기 좋잖아~






 
 
그렇지만 자식 문제에 대해서는 마냥 좋다라고 할 수는 없다. 교육비가 악순환의 고리를 끊지 못하고 하늘 높은 줄 모르고 계속 올라가고만 있기 때문이다. 사실 대학 생활부터해서 아직까지도 사교육의 일선에 서 있는 나로서는 별 할말은 없다만, 그래도 한마디 해야하지 않겠나?  죄 없는 자 나에게 돌을 던지라. -_-;

OECD국가 중 사교육비 1위라고 한다. 뭐 통계야 사실 의미가 없으나, 공사교육의 불균형에 대해서는 생각해볼만 하다. 이는 교육이라는 것이 이미 '자본주의의 굴레' 안으로 들어가버렸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공교육의 부실화가 초래한 결과인지는 확실하게 모르겠으나 이미 '가진자'는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지고, '못 가진자'는 교육을 받을 당연한 권리를 박탈당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교육의 내실화 가 필요하다. 이는단순히 공교육의 질을 높인다고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왜냐하면 자본주의의 맥락 하에서 이해하자면 높은 질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응익원칙(benefit approach)에 따라 교육을 받는 자가 그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하지만 지금도 받을 권리를 얻을만한 여유가 없어서 못 받는 것이지! 버럭!

그렇다면 해결책은 무엇일까? 체제전복 밖에 없을까? -_-

(아아.. 퇴근시간이 다가오니 글이 부실해진다. -_-)

아무리 생각해도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교육분야에서는 미국식 자본주의 제도를 버리는 것이 필요하다. 무한경쟁에 따른 발전을 도모하기보다 교육의 공공성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하향평준화식의 내신, 수능보다는 기본적인 건 다같이 배우고, 고등교육은 원하는 자(또는 능력있는 자)에 한해서 배우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사실 여기에 우리나라가 상하계층(경제적으로)의 이동이 활발하다는 것이 불평등을 더 심각하게 느끼게 해주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아버지의 직업을 그대로 물려받거나, 소위 3D 업종의 일이라도 편하게 그냥(정확히는 남의 이목을 신경쓰지 않고) 하기가 힘들다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왜냐? 내가 저 인간보다 못난게 없거든. 나도 저렇게 멋지게 살 수 있거든(로또만 되면?).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많아서.

각설하고, 위와 같은 제도(유럽식인듯 한데 잘 몰라서;)의 도입이 힘들다면? 그렇다면 미국을 답습하는 수 밖에. (사람들한테 과거 우리나라로 돌아가자고 한다면 다들 경을 칠거니까 말이다. 서당에서 글 읽고. 으핫. 생각만해도 재밌다) 하지만, 어설픈 자본주의는 곤란하다. 이도저도 아닌 제도를 만들어 나가자면 이쪽저쪽에서 불만만 터지고, 보이지 않게 고소득층을 지원하는 결과가 되어, 보이지 않는 불신은 커져만 간다.

그렇다면 답은? 재정건전화, 재정자립도 부터 시작하면 될까? '교육은 산업이다.' 라는 생각을 뼛 속까지 심어줘서 돈 있는 자만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해버리는거다. 그대들이 좋아하는 민주주의는 바로 자본주의니까. 내 돈을 내 마음대로 쓰는 자유. 그게 바로 당신들의 민주주의니까. 기여입학 허용, 학교별 등록금 자율화 등을 통해 재원을 확보한다면 다음으로 학교가 취할 행동은? 우수학생 및 우수 교수의 유치가 되겠지. 그렇다면 이제 슬슬 장단을 맞춰갈 수 있다. 물론 미국의 학교들보단 못하겠지만.


말하고 싶었던건 출산율의 저하인데, 어인 딴 소리만 잔뜩 늘어놨다. 그렇지만, 다들 출산율이 낮아지는게 이러한 원인에서 비롯되었다는 건 찬성하실거다. 루이 16세처럼 '내가 죽은 뒤에는 될대로 되라지' 라고 생각하시지 않는다면, 인생 또한 계속되는 game이라고 생각한다면, 그대들이 좋아하는 자유주의가 전부는 아니라는 걸, 그리고 출산율 저하가 얼마나 큰 문제라는 걸, 어떻게 해야 극복할 수 있는지를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을 것이다.


posted by 이것저것
2007. 2. 15. 01:45 생각정리+분석/사회
요약
로마제국의 제16대 황제(재위 161~180).

별칭 한자명 안돈
국적 로마제국
활동분야 정치
출생지 이탈리아 로마
주요저서 《명상록》






본문
한자명 안돈(安敦). 121년 로마에서 출생하였다. 5현제(賢帝)의 마지막 황제로, 후기 스토아파(派)의 철학자이다. 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의 양자가 된 후 140년 로마의 콘술(집정관)이 되었고, 145년 안토니누스의 딸(사촌누이)과 결혼, 161년 안토니누스의 뒤를 이어 로마 황제로 즉위하였다.

당시의 로마제국은 경제적·군사적으로 어려운 시기여서 변방에는 외적의 침입이 잦았으며, 특히 도나우강(江) 쪽에서는 마르코만니족 및 쿠아디족이 자주 침입하여 그 방비에 힘썼다. 그동안 페스트가 유행하여 제국은 피폐하고, 게르만족과의 전쟁에 시달리면서 발칸 북방의 시리아 및 이집트 등의 진영(陣營)에서 병을 얻어 도나우 강변의 진중에서 죽었다.

유명한 《명상록(冥想錄)》은 이 진중에서 쓴 것으로 스토아적 철인의 정관(靜觀)과 황제의 격무라는 모순에 고민하는 인간의 애조(哀調)가 담겨 있다. 여기서 그의 철학은 본질적으로는 반 세기 전의 스토아 철학자 에픽테토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으나, 한층 내면적으로 침잠해 들어오는 철학을 이루고 있다. 이에 따르면 세계의 모든 것은 불이며, 신적(神的)인 세계 영혼으로 관통되고 살려지게 되고 지배받고 있으며, 인간의 영혼도 세계 영혼의 한 유출물에 불과하여 죽으면 자연히 세계 영혼에 귀일하게 된다.

물질적·육체적인 세계의 모든 것은 이 신적인 이성에 의하여 운명적·자연필연적으로, 그러면서도 신적·합법칙적으로 끊임없이 생멸변화(生滅變化)하고 있다. 따라서 개물(個物)·개인(個人)은 그 이름도 기억도 이 필연의 운동 속에서 소멸되고, 망각으로 빠져들어간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이 자연필연의 이법(理法)을 확인하여 이를 신의 섭리라 믿고, 외적인 어느 것에도 마음을 괴롭히는 일이 없이 주어진 운명을 감수하며, 내적으로 자유롭고 명랑하고 조용하고 경건하게 그의 죽음의 날을 기다리며 살아가야 한다고 하였다. 이렇게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에게 있어서는 철학자와 황제는 전혀 별개의 것이었다. 그가 죽은 후 로마제국은 쇠퇴하였다. 로마시에는 ‘마르코만니전쟁’을 부조(浮彫)한 기념주(記念柱)와 그의 기마상(騎馬像)이 있다.




from NAVER 백과사전
posted by 이것저것
2007. 2. 15. 01:41 생각정리+분석/사회
www.amazon.com               책, 식료품, 중고차 등 전자상거래
www.apple.com/trailers               최신영화 감상
www.blogger.com               쉽게 블로그 구축
http://sfbay.craigslist.org               미국 300개 도시 취급하는 벼룩시장 광고의 포털
www.drudgereport.com               인기온라인 신문
www.ebay.com               세계 최대 경매, 전자상거래
http://espn.go.com               스포츠 중계 및 뉴스
www.factcheck.org               정치인의 연설, 보도자료 제공
www.flickr.com               사진공유 서비스
www.google.com               세계 최대 검색
www.howstuffworks.com               돈세탁, 하이브리드카, 게임콘솔 등의 작동원리를 쉽게 설명
www.imdb.com               80만개의 영화, TV쇼, 비디오게임 데이터베이스
www.lifehacker.com               컴퓨터 기술 팁 제공
www.moma.org               뉴욕 현대미술관
www.netflix.com               6만개 DVD 대여
www.npr.org               미국 공공라디오
www.theonion.com               유쾌하고 진실을 찾는 뉴스
www.rottentomatoes.com               영화평 모음 제공
www.shopzilla.com               똘똘한 비교 쇼핑
www.technorati.com               재빠른 블로그 검색
www.televisionwithoutpity.com               끝내주게 재밌는 TV쇼 재방송
www.thesmokinggun.com               기상천외한 뉴스 모음
www.wikipedia.com               방대한 온라인 백과사전
www.yahoo.com               세계 최대? 포털
www..zappos.com               구두 쇼핑몰



posted by 이것저것
2007. 2. 15. 01:35 생각정리+분석/사회
[강준만 칼럼] 평등주의의 겉과 속


많은 사람들이 한국은 평등주의가 매우 강한 사회라고 굳게 믿고 있는 것 같다.

이른바 ‘위화감’이라는 단어가 자주 사용되고 “배 고픈 건 참아도, 배 아픈 건 못 참는다”는 삶의 철학을 가진 사람들이 많은 걸로 미루어 보아 그런 믿음은 꽤 그럴 듯하게 보인다. 그러나 좀더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우선 한국사회의 불평등 정도가 양호한 편이라는 속설부터 점검해보자.

분배 불평등도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인 지니계수(Gini Coefficient)를 보면 한국은 분배가 제법 잘 돼 있는 나라다. 유엔개발기구(UNDP)의 인간개발보고서(2004년판)에 따르면, 세계 각국의 지니계수 순위에 있어서 한국은 127개국 중 27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그런 순위는 단지 ‘소득 격차’만 말해줄 뿐이다.

부동산 등과 같은 ‘자산 격차’(부의 격차)가 훨씬 더 중요하다. ‘자산 격차’에 대한 통계를 집계하지 않아서 그렇지, 이걸 감안하면 한국은 불평등의 정도가 매우 심한 나라로 급전직하한다. 한국의 1673만 가구 가운데 무주택 가구는 절반이 넘는 841만 가구나 되며, 상위 28만8천 가구는 각기 집을 5채 이상 갖고 있다.

한국의 가처분소득 대비 집값은 주요 국가의 2.5배나 되며, 땅을 포함한 부동산 보유세의 실효세율(부동산 시가 대비 세금)은 0.22%로 주요 국가의 3분의 1 이하 수준이다.

최근 대구 가톨릭대 전강수 교수가 종합토지세 납부 자료를 근거로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 땅부자인 상위 1%가 전체 토지의 절반에 가까운 45.3%, 상위 10%가 72%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태동 금융통화위원은 최근 3년간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최소 500조원의 불로소득이 생겼고 그러한 불로소득의 대부분이 50만명 정도의 주택.땅 소유자에게 집중됐다고 지적한 바 있다. 말이야 바른 말이지, 이 정도 되면 한국적 삶이라는 게 코미디 아닌가?

더욱 안타깝고 서글픈 건 이 나라의 양심과 도덕을 대변한다고 알려진 저명 인사들조차도 땅 투기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사실이다. 평범한 노동자가 평생을 벌어도 모으지 못할 액수의 돈을 불과 수개월 또는 수년 만에 땅 ‘투자’를 해서 벌고 나서도 아무런 도덕적 거리낌 없이 ‘정의’와 ‘개혁’의 선봉에 설 수 있다는 게 이 나라 엘리트층의 슬픈 자화상이다.

최근의 재산공개는 한국 정치사상 가장 개혁적이라고 자화자찬하던 17대 국회도 의원들의 재테크 실력만큼은 93년 9월 공직자 재산공개가 이뤄진 후 최고임을 보여주었다.

한국인은 평등주의가 강한가?  외국에서 분배론을 공부하고 돌아온 경제학자들에게 물어보라. 그들의 스승은 어디 가서 분배의 ‘분’자도 꺼내지 말라고 경고했을 것이다. 분배는 ‘불온사상’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이건 옛날 이야기가 아니다. 현재 진행형인 이야기다. 이는 모든 국민이 다 알고 있는 상식이다. 여기에 늘 ‘밥그릇 싸움’을 개혁으로 포장하는 정치 엘리트에 대한 환멸도 가세해 국민은 사회적.제도적 차원의 평등주의를 꺼리거나 불신한다.

그래서 한국인의 평등주의는 철저하게 개인.가족 차원에서만 작동하며, 그 주요 수단이 ‘자녀 교육’이다. 그래서 ‘자녀 교육’은 전쟁이 된다.

노무현 정권의 일부 분배 관련 정책이 매우 어설픈데다 천박한 정략의 냄새가 진동하면 좀더 효과적이고 탈(脫)정략적인 대안을 제시해야지 그걸 색깔공세의 소재로 삼는 건 잔인한 일이다.
평생을 벌어 저축해도 집 한칸 마련할 수 없다는 암울한 전망으로 좌절하고 있는 수백만 가구의 사람들이 한(恨) 맺힌 나머지 드러내는 행태의 일부를 지적하면서 “한국인은 평등주의가 너무 강한 게 문제다”라고 이야기하는 건 더욱 잔인한 일이다.

강준만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

비교한 주요국가들이 어딘지 제시해줬다면 더 좋을 뻔 했다. 어디까지가 개혁대상인지 선을 긋는게 가장 중요할 듯. 자산격차라는게 물론 큰 문제이긴 하다. 부동산에 대한 보유세를 올리자는 것도 그런 맥락에서 등장한 얘기고,

그렇지만 이미 쌓은 부에 대해서 세금 이외의 조치를 취해서 회수할 방법은 없다. 왜냐 법치국가니까. 그렇다면 자본주의 체제 안에서는 '조세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자산세를 높이는 방법 밖에 없는데... 이 또한 지역이기주의로 어려운 실정이다. 지방자치제를 없애버려야 해 -_- 코딱지 만한 나라에서 무슨 지방자치-_-;

posted by 이것저것
prev 1 next